6/16 <응급실을 1인실로 바꾸자는 건 탁상공론이다.>

<응급실을 1인실로 바꾸자는 건 탁상공론이다.>
응급실을 뜯어 고치자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그건 "응급실 문화"를 뜯어 고치자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일 뿐, 응급실을 1인실 구조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그건 탁상공론에 불과할 뿐이다.
메르스 사태로 복지부가 행여라도, 응급실 기준을 개정해서 모두 1인실로 바꾸라고 할까봐 지레 겁부터 난다.
정책 변경은 당위성과 필요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메르스 사태에서 보았듯이 응급실이 감염원이 될 수 있다"는 것으로는 당위성이나 필요성을 충족할 수 없다.
왜냐면, 이제껏 각종 환자와 보호자들이 뒤섞이는 응급실에서 메르스 외에 이렇다할 병원 감염이 있었다는 명백한 증거도 없고,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감염병이 단지 같은 공간에 있었다는 이유로 무차별적으로 전염시키는 경우도 없었기 때문이다.
또 설령 앞으로 메르스 같은 매우 전염력이 높은 (여전히 당국은 전염력이 높지 않다고 주장할지 모르지만) 감염병이 발생한다하더라도 단지 그것 때문에 응급실을 1인실로 바꿔야 할지 의문이다.
응급실을 1인실로 운영한다는 미국의 예를 보자.
미국에 2명의 메르스 환자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입국을 했는데, 이들 모두 증상이 나타난 후에 응급실을 방문했고, 조기에 메르스 진단이 되어 격리 조치된 바 있다.
이들은 모두 1인실을 운영하는 응급실을 방문했지만, 최초 메르스 감염자의 경우 50명을 격리 조치했고, 두번째 감염자의 경우 22명을 격리했다.
미국이 성공적으로 메르스 방어에 성공한 이유는 응급실이 1인실이기 때문이 아니라, 메르스 확진 후 공세적으로 CCTV 테이프와 병실 출입 서명 기록, RFID 카드를 통해 동선을 샅샅이 파악해 접촉 의심자 모두를 격리 조치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응급실 1인실 운영의 또 다른 문제는 현재 우리나라 응급센터나 응급실 대부분은 1인실로 개조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건 개조 비용을 국가가 부담한다고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게다가 설령 1인실을 갖추었다고 해도 응급실 출입을 통제할 경우, 다수 환자와 보호자들이 응급실 밖 대기실에서 대기해야 하며, 또 여기서 섞기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만일 1인실을 갖출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는 병원만 응급실을 운영하라고 한다면, 모르긴 몰라도 절반 이상의 응급실, 응급센터는 문을 닫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현실을 모르는 탁상공론이라는 것이다. 
더 중요한 건, 응급 처치를 요하지 않는 환자들의 응급실 방문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응급실이 입원 병실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되는 것을 막고, 응급실 뿐 아니라, 병실의 입출입을 강력히 통제하며 이것이 새로운 병원 문화로 인식되게끔 하는 것이다.
지혜로운 언론이 있다면, 이 같은 새로운 병원 문화를 확립하도록 국민들을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언론일 것이다.

<관련기사>

[기자수첩] 감염에 취약한 응급실 구조를 바꾸자


No comments

Theme images by fpm. Powered by Blogger.